제15기 유엔본부 한국 대학생 대표단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10/6)


2025년 2월 뉴욕 유엔본부에서 활동할 한국 대학생 대표단 15기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전·현직 외교관, 유엔직원 및 실무자와의 만남과 강의를 통해 유엔의 각종 활동에 대해 배우며 국제기구에서 필요로 하는

글로벌 리더십 및 프로젝트 관리 등의 업무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유엔본부 한국 대학생 대표단」 프로그램에 국내·외 대학생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10bd5b7b896e1.png


CLUN 15기 참가안내 더 알아보기!
https://www.wfuna.or.kr/clun_apply 

9월 월간 우프나는 CITYPRENEURS 2024 경기와 함께 진행되었습니다.


월간 우프나는 2024년 High-Level Political Forum(HLPF)에서 선정된 2025년 주요 목표 5가지를 기반으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과 이행을 위해 함께 고민하며, 인사이트를 나누는 시간입니다.

6548a012cfbb6.png

CITYPRENEURS 2024 경기와 함께 진행된 9월 월간 우프나에서는 SDG 8번 목표인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에 초점을 맞추어 ‘임팩트 스타트업 생태계’를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총 8명의 연사분들과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창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행사 시작 전, 오프닝 세션으로 김용재 사무국장님이 UN협회세계연맹(WFUNA)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함께 씨티프레너스(CITYPRENEURS)를 진행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이 있었습니다.

f6e1e508c13ee.png

photo: WFUNA Seoul


WFUNA는 임팩트 생태계를 구축하여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이루고,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달성하기 위해 2017년부터 씨티프레너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1부: 캠퍼스부터 창업까지: 스타트업 여정 

한중경제문화교육협회 청년지회 점인 회장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 강동렬 총괄간사

테크앤로 벤처스 정수연 대표

주식회사 소브먼트 이윤지 대표


1부 세션에서는 대학 캠퍼스에서 창업을 시작한 연사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창업의 초기 단계와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대한 관점을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되었습니다. 연사들은 각자의 기관 또는 기업에서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소개와 창업을 시작하게 된 계기에 대해 공유해 주셨습니다. 특히, 창업이 어떻게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변이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e6254ec853668.jpeg

photo: WFUNA Seoul


테크앤로 벤처스 정수연 대표님께서는 "창업은 대학에서 시작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습니다."라며 청년들이 기업가 정신을 넘어 창업 생태계를 활용한 기업가적 행동을 장려해야 한다고 강조하셨습니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청년 창업의 중요성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혁신적인 방법론을 탐구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1부 세션은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참석자들이 연사들에게 궁금했던 점을 직접 질문하고 답변을 들으며 마무리되었습니다.

dd409c165683f.png

photo: WFUNA Seoul


2부: 글로벌 브릿지와 스타트업

굿네이버스 글로벌 임팩트 이현승 본부장

뤼튼 테크놀로지스 김태호 이사

주한 스위스 대사관 과학기술협력실 이민용 선임 프로젝트 매니저

주한 덴마크 대사관 이노베이션센터 김고운 선임 담당관


2부 세션에서는 글로벌 차원에서 임팩트를 확산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e427d6195d882.jpeg

photo: WFUNA Seoul


굿네이버스 글로벌 임팩트에서는 청년 자립, 식량 문제 해결, 탄소 배출 저감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베트남, 우간다 등의 여러 나라에서 협력하고 있는 사업들을 소개했습니다. 이를 통해 사회적 경제 사업이 어떻게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사례를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af7fe09cdaf94.jpeg

photo: WFUNA Seoul


또한 뤼튼 김태호 이사님의 강연에서는 테크앤로 벤처스 정수연 대표님의 창업 사례와 연결된 이야기를 통해 대학에서 시작된 창업이 어떻게 발전할 수 있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주한 스위스 대사관과 주한 덴마크 대사관의 연사들은 각각 교육을 매개로 한 스위스의 창업 지원과 덴마크 정부 주도의 기술 혁신이 창업 생태계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을 소개하며, 두 국가와 창업의 연관성을 새롭게 조명해 주셨습니다.


2부 역시 질의응답 시간을 통해 참석자들이 각국의 창업 지원 사례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스타트업의 역할에 대해 깊이 있게 논의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이를 끝으로 9월 월간 우프나가 성황리에 마무리되었습니다.
f72d77c60393d.png

photo: WFUNA Seoul


다가오는 10월 월간 우프나
10월 월간 우프나는 "Goal 3: 건강과 웰빙 증진"을 주제로 개최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UN협회세계연맹은 8월 29일 첫 월간 우프나(Monthly WFUNA)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습니다. 월간 우프나는 2024년 High-Level Political Forum(HLPF)에서 선정된 2025년 주요 목표 5가지를 기반으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과 이행을 위해 함께 고민하며, 인사이트를 나누는 시간입니다.


3444aacc67663.png


HLPF는 UN 고위급 정치포럼으로 매년 7월에 개최되며, 전 세계 국가들의 SDGs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국제적인 협력을 촉진합니다.



HLPF 하이라이트

8월 월간 우프나에서는 HLPF에 대해 전반적으로 소개하는 시간이 있었습니다. 전 세계적 차원으로 진행되는 HLPF의 기능과 중요성, 그리고 지역적 차원에서 진행되는 Asia-Pacific Forum on Sustainable Development(APFSD)의 역할과 이 둘의 연결성에 대해 깊이 있는 설명이 있었습니다.

*APFSD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지속가능발전 논의를 위한 고위급 정치포럼으로, HLPF가 진행되는 7월보다 선행되어 지역적 차원의 SDGs 이행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583b582af7a0a.jpg

Photo: WFUNA Seoul


2024년 HLPF에서 선정된 2025년 주요 목표 5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Goal 3 건강과 웰빙 증진

Goal 5 성평등 달성

Goal 8 경제성장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Goal 14 해양생태계 보호

Goal 17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Post-SDGs 논의 현황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는 2030년까지 달성 및 이행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지만, 현재 일부 목표는 달성률이 19% 미만에 그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유엔본부에서 논의되고 있는 Post-SDGs에 대해 공유하는 시간이 진행되었습니다.


4794e765551b2.jpg

Photo: WFUNA Seoul


최근 WFUNA 프로그램 중 하나인 CLUN 14기 활동 차, UN 뉴욕 본부에 다녀오신 담당관님께서 직접 듣고 경험하신 이야기를 공유해 주셨습니다. 현재 구체적인 결정이 내려지지 않았지만, SDGs 이후의 글로벌 목표가 어떤 방향으로 진행될지에 대한 초기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Post-SDGs 논의 방향

- SDGs 기한 연장

- 기존 SDGs의 새로운 의제 추가

- 새로운 글로벌 아젠다 설정



네트워킹과 참여

우프나의 마지막 세션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네트워킹이 이루어졌습니다. 업사이클링 예술 작가, 공공기관 및 국제기구 관계자, 대학생 등 다양한 참석자들이 모여 SDGs 달성을 위한 고민과 아이디어를 나누는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fb7cb173246a5.jpg

Photo: WFUNA Seoul


이번 월간 우프나를 통해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각 개인과 기관, 기업의 역할에 대해 깊이 고민할 수 있었습니다. WFUNA는 시민들이 SDGs 이행에 동참할 수 있도록 독려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파트너십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다음 월간 우프나는 9월 25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SDG 8번 목표인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에 초점을 맞추어 ‘임팩트 스타트업 생태계’라는 주제로 진행됩니다. Citypreneurs 경기와 함께 진행될 예정이니, 자세한 내용과 참여 신청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https://bit.ly/4cPwNAc

965791c64ebf2.png


지난 8월 19일 씨티프레너스 울산 우승 팀인 ‘샤픈고트’의 권익환 대표님과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아이템 개발부터 창업에 대한 조언까지 많은 이야기를 나눠 주셨습니다.


98572dd09a459.jpg

샤픈고트 시상 사진 / WFUNA Seoul



1. 자기소개와 샤픈고트에 대한 간단히 소개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샤픈고트 대표를 맡고 있는 권익환이라고 합니다.

인슈어테크 관련 회사를 운영하고 있고, 스마트시티 관련 재난안전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고 있습니다.




2. 샤픈고트가 이번에 씨티프레너스 울산에서 우승을 했는데 ESG 경영을 넘어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추구하는 경영 철학을 갖게 되신 계기가 있으신가요??

*Citypreneurs: 지속가능한 발전 의제 내에서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한 수익성 있는 해결책을 제시하는 청년 창업가들을 지원하는 UN 기구 주도의 성장 플랫폼


해외 시장을 타깃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했는데 막상 개발하고 보니 국가마다 재난 관련 규정이 상당히 보수적이고 엄격한데다 수많은 규제와 인증 이슈, 카르텔 등이 존재하고 있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수십 년 전에 제정된 법들이 최신 기술을 수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어, 기술의 우수성만으로는 쉽게 시장에 진출하기 어렵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떻게 이 부분을 헤쳐나갈 수 있을까 새로운 대안을 고민하다 찾은 방안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였습니다.

ec3f07e098325.jpg

아부자 가키 1구역 IDP 캠프 두루니(IDP Camp Duruni) / 본인 제공


처음에는 ESG에 대해서도 자세히 몰랐고, 그저 진출 수단으로써만 SDGs를 접했습니다. 그런데 직접 찾아보고 알아가면서 이제는 지속가능발전목표가 회사 운영의 동기부여가 되었습니다. 특히 2022년 폴란드 세계 도시 포럼 WUF11(World Urban Forum)에 참가하면서 새로운 기술로 시장을 성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이들에게도 수혜를 줄 수 있겠다는 영감을 받았고, 아프리카 여러 국가를 다니면서 이 부분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되었습니다.




3. 창업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 아이템 개발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초창기에는 차량 액세서리를 제작하셨는데 인슈어테크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차량과 연관된 제품이 아닌 집과 관련된 제품을 개발하게 되신 계기가 있으실까요??


회사가 거의 폐업 수준에 이를 무렵, 실리콘밸리로 향했습니다. 부족했던 부분을 복기하며 새로운 시작을 고민하던 중 다른 문화를 알기 위해서는 그들의 집에서 직접 살아봐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에어비앤비를 통해 인종과 소득 수준이 다른 여러 집에 머물러 보면서, 주거 문화 시장을 이해하려 노력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스마트홈’이라는 말도 낯설던 시기에 실생활에서 인슈어테크 제품들이 활용되는 모습을 보고 저것이 미래라는 생각이 들어 트리토나를 발명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처음부터 잘 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개발 초기에는 제조업을 했다는 이유로 투자자들로부터 외면을 받기도 했거든요. 그런데 이후 미국 투자자들로부터 여러 조언을 듣고 멘토링을 받으며 비즈니스 모델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었습니다.




4. 샤픈고트의 트리토나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소화기와는 사뭇 다르게 모던한 디자인을 갖고 있어요. '소화기가 이렇게 예쁠 수 있나?'라는 생각이 저절로 들게 하는데, 대표님께서 특별히 아이템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디자인까지 신경 쓰신 이유가 있으실까요??


"Who ever loved that loved not at first sight?"

사랑에 빠진 사람치고 첫눈에 반하지 않은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 William Shackespeare, <As You Like It> -


중학생 때 해당 명언을 접하고 크게 감명을 받아 디자인을 중요하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디자인 전공은 아니지만, 제품을 개발할 때도 누구든지 첫눈에 반할만한 디자인으로 제작하고 싶어 특별히 더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c98728a42c654.jpg

샤픈고트의 트리토나 소화기 / 출처: 샤픈고트 홈페이지


화재 진화가 목적인 소화기의 본질을 생각해 보면, 소화기를 포함한 재난안전제품은 위급상황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곳에 배치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현재 소화기가 어디에 있는지 아시나요? 투박한 디자인으로 복도 끝이나 신발장 등 안 보이는 곳에 있어요. 저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 싶어 눈에 보이는 곳에 배치할 수 있는 예쁜 소화기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그 결과 트리토나가 개발되었습니다. 아마 디자인 회사도 아닌 제조 회사가 디자인계 오스카상으로 불리는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를 세 차례나 받은 이유도 이러한 저의 생각을 인정받은 게 아닐까 싶습니다.




5. 씨티프레너스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데요. 샤픈고트는 씨티프레너스 울산에 어떻게 참여하게 되었고, 준비하셨나요??


안내 메일을 처음 받았을 때는 참여하지 않을 생각이었습니다. 과거 유사한 사업에 신청했다가 탈락한 기억에 비슷한 메일을 받아도 외면했었거든요. 이번에도 메일을 삭제하려 했는데, 그 순간 “지속가능경영에 대해 우리처럼 잘 풀어낸 기업이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023년 독일 IF 소셜 임팩트 어워드에서 테크 제품 중 유일하게 샤픈고트만 수상을 하면서 글로벌에서도 인정받았는데 국내에서도 한 번 더 도전해 보자 라는 생각으로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신청서를 작성할 때는 특별하게 무언가를 추가하기보다는 제품을 개발한 과정들, 특히 제 생각을 여과 없이 담으려고 노력했습니다. 사실 준비 과정에서는 다른 것보다도 영어에 대한 스트레스가 많았습니다. 발표 당일에는 행사를 진행하는 스태프분들과 뒤에서 ‘영어 때문에 발표 못 하겠어요.’하고 농담까지 했을 정도였어요.

어떻게 발표를 진행할까 고민하다가 데모데이 때 했던 모험이 하나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제품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마지막 슬라이드에 제품 라인업을 정리한 1분짜리 영상 자료를 첨부했었습니다. 주어진 시간 동안 발표만 해야 한다는 생각에 얽매이지 않고 우리 제품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을 찾아 과감하게 시도했습니다. 좋은 결과를 받기는 했지만, 당시 Q&A 때는 아무 질문도 받지 못하여 ‘망했다’고 생각했던 기억이 납니다.




6. 씨티프레너스 참여 기업에 제공되는 다양한 강연과 멘토링을 통해서 도움받거나 인상 깊었던 부분이 있다면 어떤 부분이었나요??


샤픈고트를 운영하면서 느끼고 배운 점들을 정리해서 들으니 새롭기도 하고 다시 영감을 받기도 했습니다. 창업을 할 당시에 알았다면, 굉장히 많은 도움이 되었을 거라는 생각도 많이 들었습니다. 더불어 우리나라 기업들이 생각보다 UN 관련 활동을 많이 하고 있고, 작은 기업에도 많은 기회가 있다는 부분에 놀랐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활동을 통해 UN 관련 행사에 더 많이 참여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7. 다양한 사업과 대회에서 여러 좋은 성과를 거두셨는데 혹시 다른 대회들과 다르게 씨티프레너스만이 갖고 있는 장점이나 강점이 있었을까요??


다른 것보다도 UN이라는 글로벌 공신력을 가진 행사에 직접 참여하는 소중한 기회를 얻는다는 점이 씨티프레너스의 큰 장점이자 강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국내나 한정된 투자사들을 만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글로벌 시장에서 직접 제품과 서비스를 홍보할 수 있잖아요. 관련 분야 사람, 기업들과 소통하며 솔루션을 찾고, 그것을 비즈니스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이 큰 매력으로 다가왔습니다. 사실 우크라이나에 저희 제품을 공급할 수 있었던 것도 이런 UN 관련 실적과 행사 참여를 통한 네트워크를 가질 수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39732a11d0c3c.jpg

우크라이나 감사패 / 본인 제공




8. 씨티프레너스 울산 우승 혜택으로 11월에 제네바에서 개최 예정인 WISE 컨퍼런스에 참여하실 예정이신데, 어느 부분이 가장 기대되시나요?


저희가 가진 제품과 서비스가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어떻게 혁신적이고 창의적으로 풀어갈 수 있었는지 알리고, 이와 관련한 여러 파트너를 만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 가장 기대됩니다. 전 세계가 진행하고 있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에는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가 적용되어야 하기에, 그런 부분에서 저희 제품과 서비스 소개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WISE Conference 란?

"WFUNA Impact & Start-up Ecosystem Conference in Geneva 2024"

UN협회세계연맹이 11월 유엔 제네바 사무국에서 주최하는 ‘글로벌 임팩트 컨퍼런스’입니다. 유엔 2030 Agenda 달성의 핵심 동력으로 동아시아의 임팩트 창업 생태계를 국제 무대에 소개하여 글로벌 파트너십을 확장 시키고자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https://www.citypreneurs.org/wiseconference-2024-geneva




315ee87a35836.jpg

샤픈고트 권익환 대표님 / 본인 제공


9. 앞으로 샤픈고트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하시나요?


“우리가 만든 제품과 서비스가 계층과 소득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수혜 되기를 바랍니다.”

지금의 재난안전전문브랜드 트리토나 시리즈를 만들면서 제가 정한 회사의 방향성입니다.

처음 창업했을 때는 내가 상상하는 것들을 마음껏 해보고 싶고, 성공에 대한 욕구도 강했습니다. 그런데 여러 시행착오와 많은 실패를 경험하면서 내가 태어나서 사는 동안 어떠한 소명을 완수해야 하는지에 대해 많이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기업의 이윤 창출이 어디에 재투자되어야 하는지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고, 이런 고민들을 직접 실현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방향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액세서리로 처음 창업을 할 때도,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저는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고 싶습니다. 소비 지향적인 제품이 아니라 사람을 살릴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 싶습니다. 수익성보다는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선한 영향력으로 범죄에 취약한 여성, 아동 등 약자를 지원할 수 있는 재단을 설립하고자 하는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10. 마지막으로 창업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 창업자들, 어려움을 겪고 있는 스타트업 관계자분들, 혹은 사회에 대표님과 같이 창업을 통해 좋은 임팩트를 창출하고 싶어 하는 청년들에게 한 말씀해 주세요.


사실 창업을 추천하지는 못하겠습니다. 성공한 창업자들을 보며, 막연한 동경과 현실 도피로 창업을 한다면, 지금보다 수십 배 더 어렵고 힘든 상황과 마주하게 될 겁니다. 혼자서 하던 재테크나 동아리 활동과는 다르게 회사 경영자는 늘 판단해야 하고, 경영에 대한 법적 책임도 져야 합니다. 자금을 조달하는 과정에서 수모를 겪기도 하고, 때로는 모멸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외부 사정으로 누군가를 아프게 하기도 하고, 스스로가 상처받기도 하는 일이 비일비재한 게 창업입니다.

그렇지만, 살아가면서 우리는 언젠가는 도전을 해야 합니다. 저는 그것이 지금인지 혹은 나중인지의 차이일 뿐이라고 생각해요. 언제인지 때와 시기는 여러분들이 정하시겠지만, 성공 여부와 관계없이 지독하게 외롭고 쓸쓸한 경험이 될지라도 그 경험이 절대로 헛되지 않다는 사실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힘내세요, 여러분.


712961ded15e9.png

8월 29일 진행되는 월간 우프나는 SDGs에 대한 최신 이슈에 대해 HLPF(UN 고위급 정치포럼) 하이라이트, 2025 SDGs 인사이트 라는 주제로 다양한 이야기를 공유하는 시간으로 진행됩니다. 2024에 심도깊게 다루었던 SDGs 1,2,13,16 그리고 17번에 대한 리뷰와 더불어서 2025의 중점 목표로 새롭게 정해진 5가지 SDGs목표에 대한 최신 이슈를 공유하는 이번 커뮤니티 이벤트에서 다양한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본 세션은 한국어로 진행되며, 참석은 무료입니다.

✅  등록하기 : https://bit.ly/3Ay4kBG 


일시: 2024년 8월 29일(목) 오후 7:00~9:00 (*참가자 등록은 오후 6시반부터 시작됩니다.)

장소: 유네스코회관 5층, 유엔협회세계연맹 서울사무국

주제: 2025 SDGs Insights

아젠다

7:00 PM - 7:10 PM 소개

7:10 PM - 8:00 PM 토크 세션 및 Q&A

8:00 PM - 9:00 PM 네트워킹

상품 이미지

Are you passionate about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eager to shape a better tomorrow? Are you looking for a remote position to develop professional research skills? 

Join us as a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Research Assistant (Remote work) at the World Federation of United Nations Associations (WFUNA) Seoul Secretariat!


The World Federation of United Nations Associations (WFUNA) is seeking passionate research assistants from all over the world to assist with SDGs research, as well as writing and editing sustainability reports. 


ABOUT THE JOB

  • Title of Post: Internship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Research Assistant 
  • Region: Remote 
  • Duration: 6 months (September 2024 – February 2025)
  • Number of Vacancies: 5
  • Department: Planning & Coordination


KEY RESPONSIBILITIES

As a Research Assistant, you will work on bi-weekly mission-based projects regularly checking up via online meetings. Focusing on SDGs initiatives, you will be responsible for the following duties:

  • Conduct research on SDGs implementation in your own country by analyzing Voluntary National Reviews (VNR) and writing a report
  • Provide an In-dept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igh-Level Political Forum (HLPF) 2025 SDGs priorities –  Goal 3 (good health and well-being), 5 (gender equality), 8 (decent work and economic growth),14 (life below water), and 17 (partnerships for the goals)
  • Interview youth about SDGs awareness in your country (Questions will be further developed during hybrid meetings with research assistants)
  • Investigate the potential collaboration opportunities with WFUNA regarding national SDGs in your country
  • Develop a Report and Presentation, which will be uploaded to the official website and Social Network Service of WFUNA and used further in UNA meetings as a representative of your country


WHAT WE OFFER

An exciting SDGs Research Assistant remote position in the WFUNA Seoul offers you significant influence as a representative of your country to analyze the current implementation of SDGs and develop future sustainable initiatives. This is a special opportunity to work from home while collaborating in a multinational environment by interacting with and structuring a project alongside research assistants worldwide. The Research Assistant will receive WFUNA’s official merchandise, business card, and an official certificate of internship upon completion of the agreement.


QUALIFICATION & SKILLS

  • Language: Excellent writing and communication skills in both English and your native language
  • Knowledge: Strong understanding of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enthusiasm for the mission of WFUNA
  • Experience: Relevant educational and project/work background (sustainability, political science, communication, international relations, journalism, statistics, data analysis, etc.) is a significant advantage.
  • Professional Skills: Proficiency in research and Microsoft Office Suite (Word, Excel, PowerPoint, Outlook)
  • Soft Skills: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ability to work both independently and collaboratively, self-motivated, proactive attitude, innovative approach, and solution-oriented
  • Korean language skills are not required.


HOW TO APPLY

To apply, please send the following documents in English by e-mail to the WFUNA Seoul (recruitmentseoul@wfuna.org) and indicate “Research Assistant 2024_Name” in the mail title.

  • CV
  • Motivation Letter
  • SDGs RA Application Form_NAME (Please find the attachment Below)


We encourage you to submit your application as soon as possible and no later than 27 August 2024, 1:00 PM (KST)

We will contact successful candidates for interviews on 28 August 2024.

Interviews will be conducted on 30 August 2024.

The final shortlist of SDGs Research Assistants will be announced by 30 August 2024.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ach out to us by email: recruitmentseoul@wfuna.org 


ABOUT US

WFUNA, the world's largest network of people supporting and engaging with the UN, is an international non-profit organization representing a membership of over 100 national United Nations Associations (UNAs) that contribute to the goals of the UN. Established in 2015 as the Asia-Pacific Regional Headquarters, the Seoul Secretariat annually hosts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programs worldwide that are dedicated to advancing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Read more about the WFUNA Seoul’s history, missions, and programs here: https://wfuna.or.kr/


The WFUNA Seoul Secretariat is dedicated to promoting equality of opportunity and maintaining an inclusive recruitment process. We are committed to ensuring that all candidates are evaluated fairly and without discrimination. We encourage applications from individuals of all backgrounds and experiences.


Attachment: 1. SDGs RA Application Form_NAME 

                       2. FAQ - SDGs RA


지난 8월 1일, 유엔협회세계연맹 (이하 WFUNA) 에서 내부 첫 Town hall meeting이 진행되었습니다. 앞선 미팅은 WFUNA의 미래 비전과 미션 선포를 더불어 구성원들과 하반기 계획 공유 및 신규입사자 대상의 회사 및 진행 중인 프로그램 소개를 목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타운홀미팅은 유네스코홀 8층에 위치한 유네스코라운지에서 진행되었으며, 8월 1일부터 첫 출근을 시작한 신규 KOICA YP분들도 함께 참여했습니다.



#Timeline

13:00 ~ 13:20 전체 자기소개 및 팀별 주요 성과 및 소식 공유

10 mins break

13:30 ~ 14:00 WFUNA Seoul의 비전과 미션

14:00 ~ 14:20 WFUNA design & brand

10 mins break

14:30 ~ 15:00 사내 업무 사이트 활용 및 적용법 소개

15:00 ~ 15:20 Admin tips

10 mins break

15:20 ~ 15:40 HLPF 관련 리서치

15:40 ~ 16:00 구성원 커뮤니케이션­


 

#WFUNA Seoul Vision & Mission

이번 타운홀미팅에서는 WFUNA의 미래 비전과 미션에 대해 공유하고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WFUNA’s Vision is Advancing for our common future by connecting civil societies worldwide with United Nations”

WFUNA의 비전은 UN과 전 세계 시민사회를 연결하여 공동의 미래를 위해 나아가는 것입니다.

“Professional training for youth, Impact entrepreneurship acceleration for startups, Policy sharing and case study platform for Public institutions, Community building for visionaries and judgmatic citizens”

또한, WFUNA는 총 4가지의 미션을 선정했습니다.

- 청소년을 위한 전문교육
- 스타트업을 위한 임팩트 기업가 정신 가속화
- 공공기관을 위한 정책 공유 및 사례연구플랫폼
- 비전을 가진 이와 판단력 있는 시민을 위한 커뮤니티 구축



#HLPF란?

매년 7월 개최되는 UN 고위급정치포럼으로, 총 8일 동안 SDGs 달성과 이행을 위해 매년 5가지 주요 목표를 두고 심층적으로 논의하고 있습니다.

2025년 HLPF는 지속 가능하고 포괄적인 과학 및 증거 기반 솔루션을 발전시키는 데에 목적을 두었으며, SDG 3, 5, 8, 14, 17 입니다.­­­­


[SDG 3]

GOOD HEALTH AND WELL-BEING (건강과 웰빙 증진) – Healthcare disruptions reverse DECADES OF IMPROVEMENTS

[SDG 5]

GENDER EQUALITY (성평등달성) – lockdowns are increasing the risk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GIRLS

[SDG 8]

DECENT WORK AND ECONOMIC GROWTH (경제성장과 양질의 일자리) – The world faces WORST ECONOMIC RECESSION since the great depre­­ssion

[SDG 14]

LIFE BELOW WATER (해양생태계 보존) – The drastic reduction in human activity brought about by COVID-19 may be A CHANCE FOR OCEANS TO RECUPERATE

[SGD 17]

PARTNERSHIPS FOR THE GOALS (글로벌 파트너십) – REMITTANCES to low- and middle income countries an economic lifeline for many poor households are projected to fall



앞선 타운홀 미팅을 통해 WFUNA는 미래의 방향성을 확보하고 구성원 간의 협력을 돈독하게 다질 수 있었습니다!

🌱 앞으로도 WFUNA의 내일을 기대해 주세요 🌱


유엔협회세계연맹은 한중경제문화협회와 협력하여 지난 7월 30일 Global Youth Career Seminar를 공동 주최하였습니다. 중국 칭화대학교와 연세대학교 학생 26명이 참석하였으며, <글로벌 커리어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세미나 첫 시간은 김용재 사무국장님께서 담당해 주셨습니다. WFUNA의 역할과 함께 어떻게 글로벌 커리어를 시작하게 되었는지, 어떤 길을 걸어오셨는지 국장님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많은 이야기를 나눠주셨습니다. 


연이어 UN의 시스템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관한 교육이 진행되었습니다. UN의 역사, 주요 기관, 기능, 공용어 등 UN의 전반적인 시스템과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해 소개해 주셨습니다. SDGs의 정의와 필요성, 새천년개발목표(MDGs)와의 차이점, 현재 현황 등 학생들과 소통하며 보다 세세하게 설명해 주셨습니다.


앞선 강의에 관한 짧은 질의응답 시간을 가진 뒤,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습니다. 본격적인 프로젝트에 앞서, kahoot!을 활용하여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관련된 문제를 풀며 아이스브레이킹을 하였습니다.


이후 WFUNA에서 제작한 SDGs 툴킷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What SDGs issue do we want to solve?”

  1. SDGs 카드 한 장 고르기
  2. 해당 목표와 연관된 핵심 문제 정하기
  3. 해결책 논의
  4. 팀에서 정한 문제 상황과 해결책 발표


짧은 시간이었는데도 불구하고 여러 국적의 학생들이 의견을 나누며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해 협력하는 시간이었습니다. 글로벌 커리어 진출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시간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유엔협회세계연맹은 7월 15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제17회 국제기구 진출 설명회에 후원 및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행사는 외교부와 서울특별시가 공동 주최하였으며, 서울시청 8층 다목적홀, 간담회장 1, 그리고 3층 대회의실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총 7개의 해외 소재 국제기구와 10개의 서울 소재 국제기구가 참가하였습니다.


참가기관

● 해외 소재 국제기구: 유엔사무국, UNESCO, OECD, UNHCR, ICC, UNICEF, WHO

● 서울 소재 국제기구: WFUNA, CITYNET, UN Women, UNHCR, UNICEF Seoul, WeGO, WFP, UNDP, IOM, FAO



다목적홀에서는 심층 세션을 포함한 전체 세션이 진행되었습니다. 전체 세션은 외교부의 국제기구 진출 프로그램 소개와 함께, 서울시 소재 국제기구들의 현황에 대한 소개로 시작되었습니다. 이어진 심층 세션에서는 해외 소재 국제기구의 인사담당자들이 기구 소개와 채용 절차 등을 안내하고 통합 질의응답(Q&A)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국제기구 소개 세션에서 WFUNA 김용재 국장은 두 가지 포인트를 강조했습니다.

첫째, 국제기구 취업에 어떤 자격증, 어느 정도의 영어 점수가 필요하냐는 고전적인 질문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점입니다. 자신의 관심사와 문제의식, 그리고 전공한 분야와 잘 맞는 국제기구를 국제 NGO. 도시간기구, 정부간기구, 유엔산하단체에 이르기까지 넓게 서치하고 기회가 주어지는 곳에서 경험을 쌓아가는 것이 오히려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둘째, 본인의 전공은 국제기구와 거리가 멀다는 편견을 버려야 한다는 점입니다. 국제기구도 여느 조직과 마찬가지로 인사/재무/행정/기획/홍보 등의 직군이 모두 필요한 곳이고, 결국은 그러한 전문성을 갖춘 사람이라면 기회가 있으며, 또 기구마다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수요가 있기에 그런 부분을 잘 찾아보고 도전하면 좋다는 사실입니다.



간담회장 1에서는 사전 신청자에 한하여 비공개 모의 면접이 진행되었습니다. 인사담당자들이 직접 면접관으로 참석하여 실제 면접과 유사한 형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대회의실에서는 서울 소재 국제기구의 채용 상담 및 홍보 부스가 운영되었습니다. 대학생부터 취업준비생, 일반인 등 다양한 연령대가 방문하여 진로 및 채용 절차, 국제기구 진출 방법 등에 대해 정보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WFUNA에서는 서웅찬 사무관과 최보란 선임이 부스 운영을 담당했습니다.


유엔협회세계연맹은 국제기구 진출을 희망하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국제기구 진출 설명회는 매년 개최되고 있으니 많은 관심 바랍니다.

지난 6월 13일, 2024년 유엔협회세계연맹 서울사무국 설립 9주년을 맞이하여 <WFUNA Impact Night>이 개최되었습니다. 감사한 분들과 지나온 발자취를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나누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더 나아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과 이행을 위해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이끌어낼 WFUNA 커뮤니티 운영을 시작했습니다.


커뮤니티 모집 하루 만에 총 71분이 가입하였으며, 가입한 분들을 대상으로 관심 있는 SDGs와 WFUNA 프로그램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많은 분이 SDGs 17가지 목표 중 13번 기후 대응과 창업 및 스타트업 분야의 CITYPRENEURS(씨티프레너스)에 관심을 두고 있었습니다. 또한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한 의견을 함께 나눌 수 있는 네트워킹 커뮤니티 운영에도 많은 기대를 하고 있었습니다.

*CITYPRENEURS: 씨티프레너스는 City + Entrepreneurs의 합성어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의제의 틀 내에서 청년 창업가들이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한 수익성 있는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유일한 유엔 기구 주도의 성장 플래폼입니다.


특히 이번 WFUNA의 9주년 기념행사를 축하하며 라이프 에티켓 브랜드 ‘희녹(hinok)’에서 내빈들을 위한 선물을 준비해 주셨습니다. 바랄 희 希, 푸를 녹 綠. 늘 푸르름을 기원한다는 뜻을 담은 희녹은 지구를 위하는 방식으로 스스로의 정화를 위하는 제품을 생산하며 지속가능함을 추구해 왔습니다. 유엔협회세계연맹은 희녹의 지속가능함을 위한 고민을 응원합니다.


유엔협회세계연맹 서울사무국에서는 지속 가능한 내일을 목표로 함께 모여 더 큰 임팩트를 이끌어낼 미래를 기대합니다. WFUNA 커뮤니티를 통해 세계시민의식이 고취되고 지속가능발전목표에 기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과 실천의 장을 마련하여 기여하겠습니다.


World Federation of United Nations Associations, Seoul Secretariat
(사)유엔협회세계연맹 (분사무소)
서울시 중구 명동길 26 유네스코회관 503호 (우) 04536
No. | 220-82-11107

Secretary General | Aziel Goulandris
Tel |  02-6925-2695
Email | infoseoul@wfuna.org

URL |  www.wfuna.or.kr

ⓒ 2025 WFUNA Seoul Secretariat.